본문 바로가기
산업안전

안전관리자의 직무에 대하여

by 희야._. 2023. 4. 1.
반응형

산업안전관리자의 직무

 

 
 오늘은 산업안전필기의 내용 중 관리자의 직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. 안전관리자의 업무, 보건관리자의 업무, 안전보건관리책임자의 업무, 관리 감독자의 업무를 살펴보겠습니다.
 

 

목차

     

    1. 안전관리자의 업무


    1.안전관리자의 업무는 다음과 같이 10가지가 있습니다.
      1. 산업안전보건위원회 또는 안전 •  보건에 관한 노사협의체에서 심의 •  의결한 업무와 해당 사업장의 안전보건관리규정 및 취업규칙에서 정한 업무
      2. 안전인증 대상 기계 등과 자유한건화인 대상 기계 등 구입 시 적격품의 선정에 관한 보좌 및 지도 • 조언
      3. 위험성평가에 관한 보좌 및 지도 • 조언
      4. 해당 사업장 안전교육계획의 수립 및 안전교육 실시에 관한 보좌 및 지도 •  조언
      5. 사업장 순회점검, 지도 및 조치의 건의
      6. 산업재해 발생의 원인 조사 •  분석 및 재발 방지를 위한 기술적 보좌 및 지도 •  조언
      7. 산업재해에 관한 통계의 유지 • 관리 • 분석을 위한 보좌 및 지도 조언
      8. 법 또는 법에 따른 명령으로 정한 안전에 관한 사항의 이행에 관한 보좌 및 지도 •  조언
      9. 업무수행 내용의 기록• 유지
      10. 그 밖에 안전에 관한 사항으로서 고용노동부장관이 정하는 사항

    (참고로 더 알아보면 좋은 내용입니다.)
    안전관리자 등의 증원 • 교체임명 명령이란,
    • 지방고용노동관서의 장은  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사유가 발생한 경우에는 사업주에게 안전관리자 •  보건관리자 또는 안전보건관리담당자를 정수 이상으로 증원하게 하거나 교체하여 임명할 것을 명할 수 있다.  다만, 제 4호에 해당하는 경우로서 직업성 질병자 발생 당시 사업장에서 해당 화학적 인자를 사용하지 아니하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.

    2. 안전관리자를 증원 혹은 교체 임명 명령을 할 수 있는 경우


    1. 해당 사업장의 연간재해율이 같은 업종의 평균재해율의 2배 이상인 경우
    2. 중대재해가 연간 2건 이상 발생한 경우
    3. 관리자가 질병이나 그 밖의 사유로 3개월 이상 직무를 수행할 수 없게 된 경우
    4. 특수건강진단  대상 유해인자 중 화학적 인자로 인한 직업성 질병자가 연간 3명 이상 발생한 경우, 이 경우 직업성 질병자 발생일을 "산업재해보상보험법 시행규칙“ 제21조 1항에 따른 요양급여의 결정일로 한다.

    3. 보건관리자의 업무


    1. 산업안전보건위원회 또는 노사협의체에서 심의 • 의결한 업무와 안전보건관리규정 및 취업규칙에서 정한 업무와 안전보건관리규정 및 취업규칙에서 정한 업무
    2. 안전인증 대상 기계 등과 자율안전확인 대상 기계 등 중 보건과 관련된 보호구(모금,토) 구입 시 적격품 선정에 관한 보좌 및 지도 조언
    3. 위험성평가에 관한 보좌 및 지도 • 조언
    4. 작성된 물질안전보건자료의 게시 또는 비치에 관한 보좌 및 지도 • 조언
    5. 산업보건의의 직무
    6. 해당 사업장 보건교육계획의 수립 및 보건교육 실식에 관한 보좌 및 지도 . 조언
    7. 해당 사업장의 근로자를 보호하기 위한 다음 ㄱ~ㅁ 조치에 해당하는 의료행위
      ㄱ. 자주 발생하는 가벼운 부상에 대한 치료
      ㄴ. 응급처치가 필요한 사람에 대한 처치
      ㄷ. 부상 • 질병의 악화를 방지하기 위한 처치
      ㄹ. 건강진단 결과로 발견된 질병자의 요양 지도 및 관리
      ㅁ. ㄱ~ㄹ 까지의 의료행위에 따르는 의약품의 투여
    8. 작업장 내에서 사용되는 전체 환기장치 및 국소배기장치 등에 관한 설비의 점검과 작업방법의 공학적 개선이 관한 보좌 및 지도• 조언
    9. 사업장 순회점검, 지도 및 조치 건의
    10. 산업재해 발생의 원인 조사• 분석 및 재발 방지를 위한 기술적 보좌 및 지도 •  조언
    11. 산업재해에 관한 통계의 유지 • 관리 • 분석을 위한 보좌 및 지도.
    12. 법 또는 법에 따른 명령으로 정한 보건에 관한 사항의 이행에 관한 보좌 및 지도 • 조언
    13. 업무수행 내용의 기록• 유지
    14. 그 밖에 보건과 관련된 작업관리 및 작업환경관리에 관한 사항

    4. 안전보건관리책임자의 업무


    ① 사업장의 산업재해 예방계획의 수립에 관한 사항.
    ② 안전보건관리규정의 작성 및 변경에 관한 사항
    ③ 근로자의 안전보건교육에 관한 사항
    ④ 작업환경의 측정 등 작업환경의 점검 및 개선에 관한 사항
    ⑤ 근로자의 건강진단 등 건강관리에 관한 사항
    ⑥ 산업재해의 원인 조사 및 재발 방지대책 수립에 관한 사항
    ⑦ 산업재해에 관한 통계의 기록 및 유지에 관한 사항
    ⑧ 안전장치 및 보호구 구입 시 적격품 여부 확인에 관한 사항.
    ⑨ 그 밖에 근로자의 유해• 위험 방지조치에 관한 사항으로서 고용노동부령으로 정하는 사항

    5. 관리감독자의 업무


    ① 사업장 내 관리감독자가 지휘 • 감독하는 작업과 관련된 기계 • 기구 또는 설비의 안전 보건 점검 및 이상 유무의 확인
    ② 관리감독자에게 소속된 근로자의 작업복 • 보호구 및 방호장치의 점검과 그 착용• 사용에 관한 교육 • 지도
    ③ 해당 작업에서 발생한 산업재해에 관한 보고 및 이에 대한 응급조치
    ④ 해당 작업의 작업장 정리• 정돈 및 통로 확보에 대한 확인 • 감독
    ⑤ 산업보건의, 안전관리자, 보건관리자 및 안전보건관리담당자의 지도 • 조언에 대한 협조
    ⑥ 위험성평가를 위한 업무로부터 기인하는 유해 • 위험요인의 파악 및 그 결과에 따른 개선조치의 시행에 대한 참여
    ⑦ 그 밖에 해당 작업의 안전 및 보건에 관한 사항으로서 고용노동부령으로 정하는 사항

     
    오늘은 안전관리자 업무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. 공부하시는데 도움이 되시길 바랍니다.
    위 내용은 에듀윌 산업안전산업기사 도서를 참고하였습니다. 감사합니다.

    반응형

    댓글